와 진짜 헬스장 비용 부담돼서 망설였는데 소득공제 된다고 하니까 완전 꿀팁이네요!! 덕분에 다음 달부터 바로 등록해볼까 싶어요 ㅎㅎ 감사합니다!
지니어터 여러분!
다들 요즘 어떤 운동하시나요?
저는 헬스장 다녀보려고 하는데
PT 비용부터 회원복 구매, 월 이용권
너무 부담스럽더라고요 ㅠㅠ
근데 오늘부터 헬스장 소득공제가 가능해졌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운동비 부담 덜 수 있는 꿀팁을
저만 알고 있을 순 없어서
헬스장 소득공제 신청 방법부터 대상 조건까지
한 눈에 정리 해볼게요 !
헬스장 소득공제 대상 조건
먼저 헬스장 소득공제 대상 조건부터 알아볼게요
(1) 총 급여 7천만원 이하 근로소득자
(2) 한국문화정보원에 등록된 헬스장에서 결제한 경우
(3) 이용료의 30%를 연 300만원 한도 내에서 공제 가능
또한 PT나 GX 같은 강습비는
시설이용료와 구분되면 전액 공제
구분 안 되면 50% 공제라는 점!
헬스장 소득공제 생각보다 어마어마 하잖아요!
정말 아쉽게도 운동용품이나 음료는 공제 안 된다고 하네요.
헬스장 소득공제 신청 방법
그렇다면 헬스장 소득공제 신청 방법은 어떻게 될까요?
찾아봤는데 어렵지 않더라고요!
문화비 소득공제 누리집에 등록된 헬스장을
등록한다면 연말정산 때 문화비 공제 항목으로 포함되어
알아서 공제가 됩니다!
헬스장 소득공제 신청 시 주의 사항
간단한 만큼 꼭 잊지말고 챙기셔야 하는
주의 사항이 있어요!
반드시 헬스장 소득공제 대상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해주셔야 해요!
확인 방법은 문화비 소득공제 누리집에서 조회가 가능합니다
문의사항은 아래 번호로!
📞 1688-0700
이렇게 확인만 해두면
헬스장 이용료 결제내역이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로 자동 반영된다는 점!
연말정산에서 헬스장 소득공제 챙기는 꿀팁
연말정산 때 헬스장 소득공제를 잘 챙기려면
꼭 기억해야 할 포인트!
(1) 월단위 · 일단위 이용료는 전액 공제
(2) PT · GX 강습비는 50% 공제
(3) 수건, 운동복 대여료는 전액 공제
(4) 음료수 · 운동용품은 공제 제외
다이어트를 위해 투자한 비용의 상단 부분을
환급받을 수 있다는 거죠 ~!
헬스장 소득공제 제도 잘 활용해서
건강도 챙기고, 지갑 부담도 줄여보도록 해요!
신청방법이나 대상 조건 궁금한 거 있으면
댓글로 편하게 물어봐주세요
